본문 바로가기
IoT, AI

AI 스피커...라이프로깅(Life-logging)

by penguinee5 2022. 11. 14.
반응형

AI 스피커...라이프로깅(Lifelogging).

 


라이프로깅 데이터 수집

반응형

 

라이프로깅(Lifelogging)은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일상적인 경험과 정보를 캡처하고 저장하고 묘사하는 기술이다.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순간을 텍스트, 영상, 사운드 등으로 캡처하고 

그 내용을 서버에 저장 후 정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한다.

 

라이프 로깅(Lifelogginf)이란?

라이프로깅이란 라이프(Life)와 로깅( Loggin)의 합성어입니다. 로그(Log)의 사전적 의미는 “일지에 기록”입니다.

 라이프 로깅이란 “삶을 기록한다”라는 뜻입니다.

메타버스에서의 라이프 로깅이란 개인의 신체, 감정, 경험등을 디지털화하여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입니다.


접근 가능한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인간의 기술이 센서와 접목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인의 활동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급격하게 증가 및 변화하고 있으며,

매일매일 엄청난 양의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디지털화 하여 수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위치, 건강신호 까지 포함하여 사물 인터넷 솔루션의 급속한 발전으로

다양한 개인의 데이터는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적용 케이스 중 하나가 바로 라이프로깅(Life-Logging) 입니다.

 

라이프로깅 개념


늘 그렇지만,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할 것인가보다,

어떻게 활용되어 질것인가가 더 중요 합니다. 

 

Lifelog Retrieval From Daily Digital Data: Narrative Review - 참조

 

 


1. 다중융합센서를 활용한 라이프 데이터 로깅 

구분 센서 기기 목적
행동 Activity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속도 및 각속도 패턴인식 을 통한 정적/동적 행동 요 소 측정(Basic) 위치, 시간, 공공 데이터를 결합하여 연속적인 생활이 벤트 측정(Advanced)
운동 Workout 가속도 센서, 심박센서 가속도를 통한 칼로리 추정 및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을 통한 운동 효과 측정
수면 Sleep 가속도 센서, 심박센서 움직임 및 심박변이도 (HRV) 통한 수면 시간 추 정, 수면 중 각성 상태 추적 을 통한
인지 Cognition 음성센서,터치센서 스마트폰 사용자 음성 톤 변화를 통 한 불수의적 인지 측정, 키보드 오타율 추적을 통한 불수의적 인지 측정

 

2. 사용자 비인지적 데이터수집 개념도 

사용자 비인지적  데이터 수집

 


현재 국내 적용 중인
주요 라이프 로깅 센서 데이터


 

1. 스마트플러그

 - 노인들이 집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기인 TV, 전자레인지 등의 전원 플러그에

전력량 사용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플러그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일정 기간 사용량이 없는 경우 담당자가 확인 전화 또는 방문하여 노인들의 상태를 관리 점검할 수 있다.

가장 간편하고 저렴하게 설치 및 시행이 가능하나, 외출 등으로 오랜 기간 집을 비우거나

가전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에 대한 대응이 어렵고,

이미 고독사가 발생한 이후에 확인 되는 형태로 사전적인 대응이 어렵다.  

 

2. 환경, 감지 센서

- 가정에 움직임 및 온도·습도·조도 등을 감지하는 환경데이터 수집 센서 기기 설치하여 상태를 점검 한다.

센서에 일정시간 활동이 감지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이상 데이터 발생시 관리센터로 통보하여 점검 하도록 한다.

고독사 이외에 다양한 생활 환경에 대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여

노인생활에 맞는 안정적인 거주 환경 제공을 위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3. AI 스피커

- AI스피커와 일상적인 대화를 진행하도록 유도

관리 담당자가 안부 전화를 걸어 건강상태 등 안부를 묻거나 대화를 진행

일정 기간 사용량이 없거나, AI 스피커에 응답이 없는 경우 응급 상황으로 간주하여 대응 진행한다.

 

4. AI 카메라

- 인공지능 카메라를 활용하여 움직임을 감시

움직임이 없거나 낙상 등 비상 상황 발생되면 바로 통보 되도록

프라이버시 문제로 카메라 설치에 거부감이 높고, 비교적 고가의 장비가 준비되어야 하며

카메라가 볼 수 없는 음영지역이 생긴다. 


정부의 사업 방향



독거노인 및 장애인의 건강 및 안전관리를 위한 서비스

독거노인 안전서비스


정부의 고독사 예방 노력(관련법률) 

  고독사문제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20.3.31)

  - 고독사 예방법 시행시기(’21.4)에 맞춰 하위법령 완비, 관련 실태조사 실시기본계획 사전조치 시행

 

<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고독사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반려로봇, 치매예방로봇,이동편익지원로봇

 

독거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정신적·육체적 건강, 편익,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서비스로봇 보급사업 추진되고 있다. 

    * 노인복지시설, 재가복지 서비스 등에 돌봄로봇 보급 지원(‘20700, 40억원)


외로움 → 우울감 → 자살ㆍ고독사

 

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의 노력과 사업들이 

보여주기식 행정을 넘어 실질적인 효과와 결과로 이어지길 바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