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T, AI

AI 스피커... 반려가전?

by penguinee5 2022. 11. 10.
반응형

AI 스피커... 반려가전?


AI 스피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발간한 ‘음성인식 인공지능(AI) 기기의 대중화 가능성’이라는 보고서에서

'반려가전'이라는 용어가 사용 되었다고합니다. 그치.. 반려라는 말이 맞을수도 있겠다 싶어.. 찾아 보다보니.. 

 



반려가전이란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20년 초, 여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전자식 성인용품'을 순화해 부르는 용어로 사용됐다. 지난해 여성 섹스토이숍 유포리아에서 '혼자서도 잘하는 반려가전 팝니다'라는 제목의 도서를 발간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5091631

반려가전

라고 하네요.. ㅎㅎ 

 

반응형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AI 기술(특히 음성인식(TTS),변환(STT))이 발달하면서

'반려가전'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적합하다는 느낌을 모두 가지실 수 있을거라 생각되어 집니다.

인공지능이 인간과 소통하기 시작하면서 반려동물처럼 감정을 교류할 수 있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것이고,

AI 스피커로 대표화 되는 AI 챗봇(채팅)과 음성으로 동작하는 가전제품, 나아가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등이 이에 해당하겠죠.. 

 

사실.. 음성이 나오는 밥솥으로부터 따지면.. 우린 매우 이 분야에서 매우 앞서나아 가던 민족이였습니다. 

AI나 음성출력 기능이 없었던 이전에는 해외 바이어들이 얼마나 신기해 하는지.. 


국내 판매 되고 있는 주요 제품군 들은 

대부분 대기업사의 제품들입니다.

중고기업들이 매진하던 일반 스피커 시장들과는 달리, 브랜드와 캐릭터 

그리고 무엇보다 AI엔진을 포함해야 하니, 소규모의 업체들은 진입이 힘든 시장이죠. 

 

하지만, 시장의 점령자는 KT나, LG, SK와 같은 케이블 티비사의 셋톱박스 포함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것 같습니다. 

아직까진 날씨나 물어볼 정도로 십만원 이상을 궂이 지불할 필요를 못느끼고, 블루투스 스피커가 워낙 많이 저변 확대가 되어 있는 탓도 있는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던 AI스피커는 음질보다는 음성인식과 부가 서비스를 중점으로 하고 있는 제품군이다 보니.. 

 

구글 네스트 54,000

  - 오케이구글(구글어시스턴트), 유튜브프리미엄, 지니뮤직

  - 2세대는 7인치 모니터 포함(125,000) https://store.google.com/kr/?hl=ko

 

SK NUGU 110,000

  - 아마존 알렉사, 아리아, 멜론, LED 램프등(무드등).

  - 하젠(중국)제조, 10W스피커 - https://www.nugu.co.kr/      

 

카카오 프렌즈 - 168,000

  - 헤이 카카오, 카카오톡보내기, 보이스톡, 카카오택시.

  - 하젠, 가온미디어 제작(중국) 4채널 마이크, 7W스피커 https://kakao.ai/    

 

라인 프렌즈(CLOVA) 218,000

  -  헤이 클로바. 

  - 인포마크(한국) 제작, 2개 내장 마이크, 7W스피커 https://clova.ai/ko/products/   

 

기가지니 미니 132,000

  - 하만카돈, 기가지니 IoT연동, TV셋톱박스 위주 .

  - 머큐리(중국)제작, 6W 스피커 https://gigagenie.kt.com/mini/main.do

 

삼성전자 갤럭시 홈미니 47,000

  - 빅스비, AKG사운드, 가전연동.

  - 삼성(베트남)생산, 2마이크, 5W스피커 https://www.samsung.com/sec/ai-speaker/galaxy-home-mini/   

 


AI 스피커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들을 찾아 보니...  

-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기는 개인 이용자가 능동적으로 인공지능을 가까이서 직접 경험하고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스마트 기기라는 점에서 인공지능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국내음성인식 인공지능기기의 보급률은 아직15%에 미치지 못하여 초기채택단계를넘어대중화 단계로의 진입은 이루지 못했으나 매년 꾸준히 보급이 증가하는 추세임. 
-  가구주 연령대별, 가구 유형별 보급에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특정 기능(음악 재생, TV프로그램 재생)이나 콘텐츠(날씨 검색) 위주의 이용이 높음.
-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기 보유 가구에서 해당 기기의 기능을 이용해본 가구원은 50%에 미치지 못하지만 이용 경험자의 약 32%는자주이용하고있는 점에서 보급 및 이용 확산의 희망을 찾을 수 있음.
-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기의 대표격인 인공지능(AI) 스피커에 최근 말벗 기능 외에 시니어 돌봄 기능 등이 탑재되고 있고 지자체 에서저소득 독거노인이나 치매어르신을 위한 보급사업도 활발히 펼치는 등 이용자확산을 위한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  이번 분석에서도 자주 이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아져 7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점에서 노령층에서의 보급 및 이용이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인구노령화, 핵가족화, 1인 가구 증가라는 사회 트렌드 하에서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기는 노령층뿐만 아니라 독신 가구에서 반려 가전으로서의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임.
-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기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정보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 등 해결 과제가 남아있긴 하지만, 음성인식 인공 지능기기 사용이 제공하는 혜택이 늘어나고 만족감 이사회적으로 널리 공유될 수 있다면 향후 대중화에 속도가 붙을 수 있음. 

 

 


 

AI 스피커 보급율(가정)


AI 스피커 가정 보유율은 2018년 3.1% 에서 2021년 14.7%로 증가 하였으나
아직은 보편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단계는 아님.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기 보유 가구에서는 가구원의 약 48%만이 해당기기의 기능을 이용해 본적이 있음.

대부분 통신사(케이블TV)에서 제공해주는 번들 제품을 사용 (직접 구매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구성원 2세대 이상, 3-40대 가구에 평균 이상의 보급율을 나타냄 

개인의 AI 스피커 이용 빈도는 매일 또는 일주일에 5∼6일 등 자주 이용하는 비율이 31.5%임. 

 

주요 사용 기능은

1. 음악 재생(22.9%)

2. TV프로그램 재생(19.1%)

3. 정보검색(14.2%)

4. 시간 확인 및 알람(13.3%)

5. 가구 내 전자기기 제어(13.3%)

 

등의 순으로 조사됨. 


주요 제공컨텐츠

1. 날씨 검색(64.7%)

2. 음악 추천(35.2%)

3. 방송프로그램/영화 추천(29.7%)

4. 뉴스 검색(18.8%)

5. 길안내/경로 검색 대화(8.4%)

 

등으로 실제 사용할 만한 컨텐츠가 없다는 부분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늘 강조되는 무엇보다 컨텐츠.


기타  시장전망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Gartner) 는 2020년까지 미국 내 가정의 75%가 AI 스피커를 보유할 것으로 전망- 아마존 덕분? 
2020 년 국내 AI 스피커 시장의 규모는 약 11조 1천억 원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낮아지고, 컨텐츠들이 확대되면서

AI 스피커 하나로 통일화 되기보단, 점점 특화되는 기능으로 제품이 세분화 되어 간다는 느낌입니다. 

 


구독까진 바라지도 않아요 ~

살짝, 하트만 눌러주시고 떠나시면,

소심한 저의 글쓰기에 맘적인 도움이 됩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