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 Gadegt

신제품 - '전동칫솔'을 사랑한 고양이

by penguinee5 2022. 12. 18.
반응형

이번에 소개할 신제품은 고양이를 위한 제품입니다.

고양이가 좋아하는 전동 칫솔입니다.

고양이 양치질로 수명을 최대 30% 연장하고, 

양치질을 잘한 고양이는 5년 더 산다고 하네요.


고양잇과 동물들인 필수적으로 털을 고르는

그루밍을 하고, 이때 세균이 고양이의 입으로 들어가 세균 감염에 걸리기 쉽다고 하네요.

고양이는 충치가 생기지 않지만, 

스스로 그루밍을 하는 고양이에게 더욱 위험하다고 합니다. 


고양이의 경우 플러그는 치아가 아니라 잇몸을 손상시킵니다.

손상된 잇몸을 통해 외부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고양이의 몸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정기적으로 그루밍을 하기 때문에 이것은 높은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고양이는 사람보다 2배 빠르게 플라그가 쌓이고, 

이러한 요인들은 구강 건강 관리가 고양이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합니다.

 

놀랍게도 양치질을 싫어하던 고양이들도 전동 칫솔은 좋아 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사람들의 일반 전동칫솔이 작동을 할때, 고양이가 기분이 좋을 때 내는 그르렁거리는 소리와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전동 칫솔을 사용할 때 자연스러운 그르랑 거리는 소리로 인해 고양이는 편안함과 만족감을 느낀다고 하네요. 

일반 칫솔은 깨물려고 하지만, 전동 칫솔의 경우 친숙해 지면 오히려 좋아합니다. 

 

이 제품에서 미세하고 복잡한 진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회로, 칩 및 소프트웨어에서 16개월의 연구 개발을 진행했고,

전문 대학 기관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것을 테스트하고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PCT를 통해 미국 및 국제적으로 우리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안전한 실리콘 칫솔모

일반 칫솔을 사용할 때 양치질에 익숙하지 않은 고양이는

고양이의 저항과 경험 부족으로 인해 실수로 고양이 잇몸을 다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품은 칫솔 헤드를 잇몸에 부드럽고 100% 살균할 수 있는 부드러운 실리콘으로 제작하여

더 안전한 제품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부드러운 실리콘 헤드는 끓는 물로 100% 살균이 가능하여 오염된 칫솔로 인한 감염 위험을 제거합니다.

이 제품의 실리콘 헤드는 어린아이의 노리개 젖꼭지에 사용되는 소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물에 끓여도 전혀 해롭지 않습니다.

 

제조사는 플러그가 쌓이고 감염되기 쉬운 고양이의 잇몸에 집중했다고 하며, 

고양이 잇몸 관리에 효과적인 칫솔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하네요. 

이 제품은 기존의 칫솔처럼 입안의 찌꺼기를 닦아줄 뿐만 아니라

치주낭을 흔들어 잇몸의 염증을 완화하고 잇몸을 재생시켜줍니다.


< 사용방법 > 

1. 고양이에게 칫솔과 친숙해지기

2. 고양이 입 근처에서 칫솔을 사용하십시오.

3. 고양이 양치질하기

 

이제 입을 벌리지 않고 입술을 약간 올린 상태에서 잇몸과 치아 사이에 칫솔을 놓습니다.

익숙해지면 칫솔로 부드럽게 잇몸을 마사지해 주시면 됩니다. 오랫동안 양치할 필요 없이 한 번에 5~15초 동안만 양치하세요.

이 세 단계를 따르면 고양이 기분 변화를 개선하고 구강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필요에 따라 고양이의 양치질과 가르랑거리는 칫솔로 그루밍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십시오.


전동칫솔 1+칫솔모 2 =. 69달러 (원화로 9만 원가량)입니다.

인디고고에서 펀딩을 진행하고 있고, 

내년 6월에 배송을 예정하고 있네요. 


고양이 집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간식과 캣닢을 준비하시나요? 

너무 많은 간식은 고양이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있지만 진동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건강한 대안이라고 합니다.

고양이에게 별도의 간식을 주지 않아도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있으며, 전동칫솔은 저주파를 구현한다고 합니다. 

저주파가 뼈를 강화시킨다는 것은 알려져 있고 입증된 사실이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제품은 빗과 칫솔로 모두 사용할 있다고 하네요. 

 

집사 역활도 만만치 않은 것 같습니다. 

예전 티비에서 아래와 같은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이제 이해가 되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