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s

CES 2024 Pre-view

by penguinee5 2024. 1. 6.
반응형

 

CES 2024 Pre-view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2024년 1월 9일~1월 12일(현지시간)동안 개최될 예정입니다. 

CES 2024에서는 "All Together, All On"의 주제 하에 모든 기업과 산업이 다 함께 인류의 문제를 혁신 기술로 해결하자고 말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 산업을 관통하는 인공지능(AI) 기술과의 융합을 핵심으로 보고 있습니다. 

 

CES 2024

 

 

CES 2024는 국내 기업의 참가 수 및 혁신상 수상 비중이 전년 대비 크게 확대되었으며, 기조연설에 국내 기업이 포함되어 있어 그 의미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HD현대의 정기선 부회장, 재생에너지및스마트인프라전략을소개할 예정 ) 

 


 

올해 전시 주제는 "All Together, All On"으로 모든 산업과 기업이 다 함께 인류의 문제를 혁신 기술로 해결하자는 의미. 

핵심은 "전 산업의 AI와의 융합" 입니다. 

 

 

CES 2024에서 주목한 5대 테마

 

 

CES 2024를 관통하는 5가지 핵심 키워드는 

1)인공지능(AI), 

2)모빌리티, 

3) 푸드·애그테크, 

4) 헬스·웰니스 테크, 

5) 지속가능성과 인간안보

CES 2024에서 주목한 테마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전 산업 분야의 기술 융합과 혁신이 인류의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전망 입니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는 28개 부문에 걸쳐 혁신상(Innovation Awards)과 최고혁신상(Best of Innovation Awards)을 시상합니다. 

CES 2024의 최고혁신상으로는 총 27개 제품·서비스가 선정되었으며, 국내 기업들은 이 중 8개를 차지 했습니다. 

테마 내용 요약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현재 모든 테크의 중심인 인공지능이 모빌리티, 헬스케어 등의 전 산업에 도입되고 영향력을 확대할 것이며, AI 기반 제품 및 서비스가 B2C에서 B2B로 확산될 전망 
모빌리티
(Mobility)
자율주행, 전기차, 커넥티드 카, 차량용 소프트웨어 등을 중심으로 한 미래 모빌리티 관련
신기술이 미래 산업의 주축으로서의 지위를 이어갈 전망
푸드·애그테크
(Food·Agricultural Technology)
기후변화, 환경오염, 인구 고령화 등으로 대두된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먹거리 문제를 AI,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강화될 것
헬스·웰니스테크
(Health·Wellness Technology)
웰니스란 단순 건강(Fitness)을 넘어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을 유지하는
것으로, 팬데믹 이후 급증한 헬스케어 수요와 더불어 인류의 웰니스 실현에도 인공지능
기술 등이 접목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
지속가능성&인간안보
(Sustainability
&Human Security)
 혁신 기술을 에너지 보존, 전력 생산량 증진, 식량난 해결, 스마트도시 건설 등
인류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개발(기업의 ESG 경영)
1994년 유엔이 식량 안보, 의료 개선 등 인간을 둘러싼 주요 이슈를 묶어 주창한
개념으로, 경제안보, 환경보호, 개인안전, 정치적 자유 등을 포괄

 


CES 2024

 

CES 2024의 핵심 테마–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지난 2022년 11월 말에 인공지능(AI) 챗봇 ChatGPT가 공개된 이후 생성형 AI 기술 및 제품 경쟁이 가속화 되며 AI 기술이 주목받은 만큼, CES 2024의 최고 화두는 AI로 꼽힘

CTA 회장 게리 샤피로는 “AI 기술이 모빌리티, 인프라, 지속가능성, 스마트홈 등 모든 산업 영역에서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AI 기반 제품들이 높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 주장

CTA는 최초로 혁신상 부문에 AI를 추가했으며, AI 부문이 새롭게 추가됐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출품작의 7%(총 28개 작)를 차지했을 정도로 높은 주목을 받았으며, 이 중 무려 16개가 국내 제품으로 한국의 AI 기술력을 다시 한 번 눈여겨볼 수 있음

CES 2024 인공지능(AI) 부문 혁신상 수상작

 

삼성전자, LG전자, 퀄컴(Qualcomm) 등 주요 글로벌 빅테크들은‘생성형 AI 시대’를 강조하며, AI 기술 중심의 자사 전략과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

스마트 가전으로 양자구도를 그리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새로운 수익성 창출을 위해 생성형 AI를가전에 적용시켜‘초연결‘ 가전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함

퀄컴, 인텔(Intel), AMD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개인용 노트북∙모바일∙PC에 AI를 구동(*온디바이스AI)할 수 있는 고성능 칩을 개발 중 향후 ‘AI 맞춤형’ 개인용 IT 기기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주요 스타트업 > 

기업명 주요 내용
마음에이아이
(MAUM.AI)
 AI 모델 생성 플랫폼을 개발하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AI 제품 및 서비스를 출시하고자 함
 CES 2024에는‘WoRV(World Model of Robotics and Vehicle Control)’라는 완전 자율주행과 범용
로봇 제어를 위한 비디오 파운데이션 모델(video foundation model)을 공개할 예정
 범용적인 멀티모델(Multi-model), 멀티태스크(Multi-task) 인공신경망을 자체 설계하며, 별도의 rule 기반
코딩 없이 이미지 및 영상만으로도 의사결정을 하고 제어가 가능
메타빌드
(MetaBuild)
 CES 2024에 극사실적인 Full-3D 디지털 휴먼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휴먼 서비스
플랫폼‘R2MIX’를 공개할 예정
 해당 서비스는 ① 카메라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디지털 휴먼의 얼굴표정과 제스처를 동기화시켜 동영상
제작 및 라이브 스트리밍에 활용할 수 있는‘R2MIX LIVE’, ② 초거대언어모델 기반 대화형 AI 기술을
디지털 휴먼에 적용해 AI 기반 고객 응대, 안내, 통역 등에 활용할 수 있는‘R2MIX AI’로 구성되어 있음
 사용자들이 디지털 휴먼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간단한 설정만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휴먼을 생성하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메타버스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함
딥인사이트
(Deep-in-sight)
 AI 기반의 3D 센싱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자율주행, 로보틱스, 스마트 팩토리, 물류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 AI, 3D 센싱, 광학 기술(Optics)을 융∙복합 적용한 제품 및 시스템을 출시
 근거리, 고화각, 고해상도 3D 카메라에 AI 솔루션을 탑재하여 기계, 로봇 등이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도 기여할 전망
 3D 센싱 시스템의 최적화 및 개발, 광학 시스템 설계 및 솔루션, 활용 알고리즘 임베디드 시스템, 그리고
AI 알고리즘 S/W 개발 등의 사업을 진행 중
메이아이
(mAy-I)
 CES 2024에 영상처리 AI 기반 오프라인 방문객 데이터 분석 솔루션인‘mAsh(매쉬)’를 출시하여
혁신상을 수상
 mAsh는 오프라인 공간과 기업의 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해결하며 다양한 유형의 공간에 대한 방문객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도움
 매장에 설치된 기존 CCTV를 활용해 방문객의 성별, 연령대, 동선, 체류 시간, 행동, 상품과의 인터렉션
등을 분석하며, 분석한 데이터는'mAsh Board(매쉬 보드)'라는 이름의 웹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됨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이란, 인간의 생각하는 방식을 모방하여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과를 판단해 제공하는 기술

AI 기술은‘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첨단 분석 기술로 지속 발전되어 왔으며, 더욱 고도화되고 다양한 서비스로 구현되어 각종 업무 자동화 및 효율화에 기여하는 도구로 자리잡음

특히 지난 2022년 11월 챗봇 ChatGPT가 등장하며 특히 AI 기술의 성숙도와 가능성, 그리고 잠재력에 대해 제대로 눈을 뜨게 되었는데, 말 그대로 인간의 요구에 따라 아웃풋을‘생성’해낼 수 있는 생성형 AI (Generative AI)이기 때문

인공지능 구분

 

생성형 AI (Generative AI)

생성형 AI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찾고 학습하며, 추론과 의사결정 능력을 지녀 새로운 텍스트,이미지, 코드 등을 빠르게‘창조’해 낼 수 있는 고도화된 AI 기술

생성형 AI는 응용처인 완전자율주행차, 메타버스, 로봇 기술 등의 기술이 앞으로 더욱 확대됨에 따라2030년 2,07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2023-2027 CAGR 24.4%)이며, 생성형 AI 관련 VC 투자 금액은 2022년 기준 약 21억 달러로 나타나, 2020년 이후 무려 425%나 증가한 수치를 보임

생성형 AI의 10년 기준 침투율(66%)이 스마트폰(31%)과 클라우드(5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는만큼(Bessemer VC), 생성 AI에 대한 업계의 투자 또한 향후 시장 규모의 압도적인 성장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

또한, 기술 없이는 생활할 수 없는 Z세대( 1990년 말~2000년초반에 태어난)와 C세대((Covid Generation): 2016년~2030년에태어난 세대)가 향후 전체 인구 중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생성형 AI 도입은 가속화될 전망

 

생성형 AI의 Value Chain 및 주요 Players

생성형 AI

 

■ 생성형 AI의 Value Chain은 크게 ① AI 기술 생산을 위한 인프라, ② AI 서비스화를 위해 학습된 ‘범용’ 모델 (파운데이션), ③ AI 모델 기반 응용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됨

세부적으로는 총 5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성 AI의 본격 발전 추세에 힘입어 기존의 5가지 영역 (하드웨어, 클라우드 플랫폼, 모델 허브 및 머신러닝 오퍼레이션(MLOp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1가지(*파운데이션 모델)를 추가한 총 6가지 영역으로 재구성
* 파운데이션모델(Foundation model): 대규모데이터셋을사용하여사전에학습되어있는일종의반제품형태(일종의원재료); 어플리케이션기업들에게AI 서비스 구축을위한API를제공하는비즈니스모델추구(Ex. Open AI의GPT)

생성형 AI 밸류체인의 6가지 영역 모두 신규 진입 기회가 존재하나, 단기적으로는 현존하는 Big player (빅테크, 대기업)들이 대부분의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보이며, 중장기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시장 중심 으로 새로운 진입자(중소기업, 스타트업 포함) 모두에게 상당한 가치 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Google), 메타(Meta), 바이두(Baidu) 등 글로벌 빅테크들은 본격적으로 생성형 AI 경쟁에 뛰어들어, 투자뿐 아니라 직접 개발, 서비스에 적용하는 비즈니스를 추진 중

■ (MS) Bing에 ChatGPT 적용, (구글) 챗봇 Bard 출시, (메타) Llama2 출시, (바이두) Ernie Bot 출시

생성형 AI는 이제 막 성장궤도에 오른 분야로 아직 절대적인 강자가 없음; 이에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이며, 생성형 AI 시장 선점을 위해 인프라 영역의 AI 반도체에 대한 국내외 Big Player들의 수요 또한 급증

 

 


 

2022.12.05 - [New Gadegt] - 해외 마케팅 - 해외 전시회

 

해외 마케팅 - 해외 전시회

해외 마케팅(전시회편) 작은 나라, 작은 시장의 태생적 한계를 넘어서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개척이 필수 입니다. 지금은 세월 속 추억의 이야기가 되어버린, 대우 김우

penguin5.tistory.com

 

 

Source:  삼일PwC경영연구원 레포트, 인터넷 

반응형

댓글